728x90
반응형
인덱스(Index)는 빠른 데이터 검색의 열쇠이다. 하지만 과유불급!
오늘은 MySQL 인덱스의 원리와 설계 전략에 대해 알아보자.
1. 인덱스의 동작 원리
- MySQL은 B-Tree 기반의 인덱스를 주로 사용한다.
- 데이터는 계층적으로 정렬되어 검색 속도를 극대화한다.
2. 인덱스의 유형
- Primary Index: 기본 키(Primary Key)에 자동 생성.
- Unique Index: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 유니크한 데이터.
- Composite Index: 여러 열(Column)을 결합한 인덱스.
3. 인덱스 설계 시 주의점
- 자주 사용하는 열에 인덱스를 추가하자.
- 읽기보다 쓰기가 많다면 인덱스 개수를 최소화하자.
- 과도한 인덱스 사용은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
4. 인덱스 관리 예제
-- 인덱스 생성
CREATE INDEX idx_name ON employees(name);
-- 인덱스 삭제
DROP INDEX idx_name ON employees;
728x90
반응형
'My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MySql 성능 튜닝을 위한 5가지 팁 (0) | 2024.12.02 |
---|---|
[MySql] MySql 트랜잭션과 격리 수준 (0) | 2024.12.01 |
[MySql] MySql 효율적인 쿼리 작성을 위한 팁 (0) | 2024.11.29 |
[MySql] 데이터 마스킹 처리 방법 (1) | 2024.10.05 |
[MySql] 서브쿼리 사용법 (0) | 2024.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