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개발자가 글을 써야 하는 이유
저는 고등학교 시절 글쓰기를 싫어했습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과목인 수학과 과학처럼 객관적이지 않았어요. 셰익스피어처럼 이해하기 어려운 오래된 문학에 대해 써야 하는 것도 도움이 되지 않았어요. 하지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정규직으로 일하기 시작하면서 글쓰기에 대한 저의 관점이 바뀌었습니다.
- 글쓰기는 곧 일의 일부
- 중급 엔지니어로 성장하면서 글쓰기가 업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됩니다.
- 기술적인 질문을 던지고, 코드 리뷰를 하고, 디자인 문서를 작성하는 등 글쓰기는 협업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습니다.
- 특히 코로나 이후 비대면 문화가 강화되면서, 비동기적 소통을 위한 문서화가 필수가 되었습니다.
- 글을 잘 쓸수록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데 더욱 효과적일 것입니다.
- 글쓰기는 자기 확장의 도구
- 글쓰기를 통해 자신의 지식을 팀에 공유하면, 팀 전체의 생산성이 높아집니다.
- 예를 들어, 동료의 작업 노트가 위키 형태로 팀원들에게 공유되면서 효율성을 높이는 사례가 있습니다.
- 직접 코드를 작성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글쓰기를 통해 팀을 더 빠르고 효과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 글쓰기는 사고력을 강화한다
- 글을 쓰면서 생각을 구조화하고 논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디자인 문서를 작성하면서 새로운 최적화 방법이나 문제점을 발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 이는 단순히 기존의 아이디어를 명확히 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과정이 됩니다.
- AI 시대에도 글쓰기의 가치는 여전하다
- ChatGPT 같은 도구가 글쓰기를 대신할 수 있어도, 스스로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능력은 중요합니다.
- 글쓰기는 단순한 작업이 아니라 사고를 논리적이고 깊이 있게 만들며, 이를 통해 더 나은 결정을 내리게 해줍니다.
제가 아는 가장 뛰어난 엔지니어들은 모두 뛰어난 글쓰기 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쓰기는 업무에서 효과적으로 일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기술 중 하나입니다. 여러분도 글을 써보는 것은 어떨까요?
출처 - https://www.developing.dev/p/why-engineers-need-to-write
728x90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LOps란? (1) | 2024.11.25 |
---|---|
[포브스] 2025년 모두가 반드시 준비해야 할 10가지 AI 트렌드 (1) | 2024.11.24 |
Reactive Resume - 오픈소스 이력서 제작 및 관리 도구 (0) | 2024.11.22 |
[ETC] ELK 스택이란? (1) | 2024.11.21 |
[ETC] RAID 기술 (0) | 2024.11.18 |